자세히 알아보기: 여행자 비자
신청에 필요한 서류
중요 지침
남수단은 동아프리카에 위치한 국가입니다. 수도는 주바입니다. 원래 수단 공화국에 속해 있었지만, 2011년 수단 공화국 남부의 독립 여부를 묻는 주민투표에서 99퍼센트가 독립에 찬성하여 공식적으로 독립하였습니다.
남수단은 입국 시 비자가 필요한 국가입니다. 남수단에 입국하려면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째는 수단, 케냐, 우간다, 이집트 및 이디오피아 등에 있는 남수단 대사관에서 비자를 받고 입국하는 방법입니다. 대한민국에는 아직 남수단 대사관이 없습니다. 둘째는 남수단에서 업무 대행인이 이민국에서 입국 허가서를 받아 보내주면 이것을 가지고 남수단 공항에 도착하여 도착 비자를 받는 방법입니다. 업무 대행인은 입국 허가서 사본 지참자가 공항에 도착하기 이전에 공항에 원본을 제출해야 합니다. 입국 허가서 비용은 45달러, 입국 비자는 100달러 정도이고 소요 기간은 4-5일 정도입니다.
대한민국 대사관은 없으며 주 우간다 대한민국 대사관에서 업무를 겸임하고 있습니다.
남수단 전 지역에 2단계 특별여행경보가 발령되어 있어 남수단에 있는 한국인은 철수를 권고하고 있습니다.
남수단은 많은 부족들이 거쳐가고 이집트와 에티오피아의 두 문명 사이에서 수많은 군소 왕국이 생겨났다 사라져갔으며 지역 전체를 장악하는 지속적인 국가는 없었습니다. 현재 수단 공화국 지역은 이집트가 북쪽으로 물러난 이후, 이집트가 이슬람화되고 나서 다시 남쪽으로 세력을 확장하며 이슬람 문화를 받아들이고 민족 또한 이집트와 기타 북아프리카 출신 민족들이 대거 유입된 반면, 남수단 지역은 그렇지 않다는 점입니다. 이것이 수단과 남수단 분리의 근본적인 원인이 됩니다.
19세기 이집트가 독립하면서 수단까지 영역을 확대합니다. 북부 수단 지역을 넘어 딩카족의 영역이던 남수단까지 영역을 확대하였지만 본격적인 통치는 하지 않았습니다. 수단이 독립하면서 북부 아랍문화와 남부의 흑인 누비아 문화의 이질성 때문에 문제가 발생합니다. 독립 이후 15년간 1차 내전으로 백만 명이 죽었으며, 1978년에 분리하려고 하다가 남부 수단에서 석유와 자원들이 발견되면서 분리문제는 다시 백지화되었습니다. 1983년에 수단인민해방군이 궐기하여 2차 내전이 일어났고 20년간 내전이 지속되었습니다. 남수단 독립 투표가 2011년 진행되어 96퍼센트의 찬성으로 독립을 선포하였습니다.
남수단이 독립한 이후 초대 대통령인 살바 키르 마야르디트가 헌법을 개정하여 권력을 강화하고 독재를 시작하자 다른 반군들이 반발하여 내전을 치루게 되는데 이것이 악명높은 남수단 내전입니다. 내전은 2013년부터 시작되어 수만 명이 숨지고 최소 220만 명의 피난민이 발생하였습니다. 이후 2015년 평화협정을 맺었으며 2016년 연립정부를 구성해 정국이 안정되는 듯 했으나 2016년 대통령과 부통령의 경호원들이 무력 충돌을 하며 다시 내전으로 번질 가능성이 생기고 있습니다.
1안당 GDP는 222달러로 세계 최하위이며 내전으로 무너진 경제는 회복되지 않고 있습니다. 수단 석유의 85퍼센트가 남수단 지역에서 나왔지만 석유를 정제할 시설도 없고 내륙국이라 항구도 없습니다. 교통도 철도는 북수단으로 통하는 철로 하나 밖에 없고 석유 파이프도 북수단으로 가는 한 가지 파이프밖에 없습니다. 길의 대부분이 포장되지 않아 수도 주바에서 다른 나라로 가는 포장된 길은 하나도 없습니다. 독립하자 물가가 폭등하고 있으며 개발도 어려운 상황이고 수도 주바는 세계에서 4번째로 물가가 비싼 도시로 알려져 있습니다.
자원이 풍부하고 농산물도 자급자족했던 나라입니다. 그러나 내전으로 점점 식량이 부족해져 현재 470만 명이 식량 원조를 필요로 하고 있는 상황이고 몇 년 동안 원유 생산도 중지된 상태입니다.
아프리카 많은 나라들이 겪고 있는 종교, 부족, 자원, 군벌, 내전과 그 후유증, 영토분쟁 문제를 한번에 겪고 있는 상태라서 소말리아와 더불어 최악의 상황을 겪는 나라입니다. 현재는 UN의 결의로 많은 나라에서 평화유지군을 파병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2018년 취약국가지수 1위가 되는 불명예를 받았으며 많은 나라에서 여행을 금지하거나 방문을 자제하도록 발표한 나라입니다.